생활&건강
생리통에 좋은 음식 알고 계시나요?
AI books
2023. 8. 30. 21:24
반응형
생리통이란?
여성들이 월경 주기 동안 느끼는 통증을 의미합니다. 생리통은 자연적으로 생기는 현상으로, 대부분의 여성들이 어느 정도의 통증을 경험합니다. 이 통증은 월경 주기의 첫날부터 몇 일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가장 심한 때에는 하복부에서 시작하여 허리와 다리로 퍼질 수 있습니다. 생리통은 골반 장기의 이상 유무에 따라 일차성 생리통과 이차성 생리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생리통은 증상의 유형과 정도가 다양하고, 흔하게 경험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가볍게 여기는 여성이 많습니다. 그러나 골반 장기에 이상이 있는지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생리통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에 내원하여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차성 생리통 : 일차성 생리통의 증상은 보통 아랫배의 골반뼈 바로 위 부위에서 쥐어짜는 느낌의 통증이 느껴지는 것입니다. 생리 시작 전 또는 직후에 발생하여 약 2~3일간 지속된 후 사라집니다. 출산 시 통증과 비슷한 양상으로 허리 및 엉치와 허벅지까지 뻗치기도 하고, 오심, 구토, 설사가 동반될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한 경우 실신하기도 합니다. 보통 초경 후 1~2년 내에 발생하기 때문에 어린 여학생에게 흔하지만, 40대 미만의 젊은 여성에게도 많습니다. 일차성 생리통은 아랫배를 부드럽게 마사지하거나 지긋이 눌러주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완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차성 생리통 : 이차성 생리통이란 골반 내 장기에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나는 주기적 통증으로 일차성 생리통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도 있지만 생리를 시작하기 약 1~2주 전부터 발생하여 생리가 끝난 후 수일까지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차성 생리통이 생리 전에 심하다가 생리가 시작하면 감소하는 양상인 데 비해, 이차성 생리통은 생리가 시작되면서 더욱 심한 경련성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차성 생리통은 자궁내막증, 난관염, 골반염, 자궁선근증, 자궁 근종, 난소 낭종, 골반 울혈, 자궁 기형, 자궁경부 협착 등의 질환이나 자궁 내 장치 때문에 발생합니다.
진통제는 계속 먹어도 되나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약국에서 의사의 처방 없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이 약제는 생리통 감소에 매우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위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위장관궤양이 있거나 아스피린제제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여성이 사용하는 것은 금기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통 소염제는 내성이 생기는 약제는 아니므로 생리통을 참기 보다는 생리기간 중 적절하게 복용하는 것이 오히려 도움이 됩니다. 약제에 의한 부작용으로 오심, 소화불량, 설사와 같은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통상적인 진통제 복용으로도 생리통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이를 조절하기 위해 무리해서 약제를 과다 복용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4-6개월 정도 약제를 복용하여도 생리통이 지속되면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여 골반 장기 등 다른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고 복용 약제의 변경과 용량에 대해 상담하여야 합니다.
생리통에 좋은 음식
생강 : 생강은 항염, 진통,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강은 생리통으로 인한 염증을 줄이고 근육 경련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바나나 : 바나나에는 마그네슘과 비타민 B6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들 성분은 근육의 이완과 신경 전달을 조절하여 생리통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안, 우울, 스트레스를 개선해 주고 변비에 큰 도움을 줍니다.
아몬드 :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여 생리통에 도움이 될 수 있 습니다. 또한 마그네슘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불안,
신경과민등의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브로콜리 : 항염작용과 항산화작용을 통해 생리통 완하에 도움을 주고 칼슘이 풍부해서 골다공증, 심장병, 암에도 좋은
음식입니다. 생리기간에는 호르몬 때매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데 비타민 C가 풍부해서 피부건강에도 좋은 음식입니다.
미역 : 미역은 칼슘이 풍부하고 철분, 엽산, 무기질이 풍부하여 빈혈 예방 및 생리통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시금치 : 철분, 비타민,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생리통 완화 및 변비를 예방하는데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시금치에는 엽산성분이 함유 되어있는데 항염작용을 통해 염증을 줄이고 면역 시스템을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